The Hidden eMotion 
프로젝트 타이틀은 두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 
첫 번째는 글자 그대로 한국 젊은 세대의 '숨겨진 감정'을 표현한 것이며, 다른 의미로는 글자 "e"를 의도적으로 작게 나타내어, “Hidden Motion”을 강조한 목적이 포함되어 있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각 인터뷰 인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특정 물체의 움직임, 빛의 변화 및 특정 의미가 담긴 색을 사용했다.


The title has two meanings. 
The first is literally an expression for the “hidden emotions” of the Korean MZ generation.
The other meaning relies on a lowercase “e” (eMotion) to emphasize the idea of a “Hidden Motion”. The project shows this by using moving objects, lights, and colours to represent the emotions of the individuals who have been interviewed.



What We See Isn’t Everything

K-Pop, K-드라마 그리고 한식은 최근 들어 세계의 많은 나라들에서 주목하고 있는 한국의 긍정적인 문화다. 특히 K-Pop과 K-드라마는 동남아시아 국가뿐만 아니라 현재 유럽에서도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과연 이렇게 널리 알려진 과장된 콘텐츠들이 한국인이 알고 있는 한국의 현실과 동일할까?
실제로 많은 외국인이 현실과 동떨어진 콘텐츠들을 통해 환상을 가지고 한국에 정착했으나 실제 현실과의 괴리감에 종종 실망감을 표하곤 한다. 물론 어느 사회에서나 긍정적인 부분과 부정적인 면은 함께 공존한다. 그러나 인간의 본질적인 특성상, 우리는 부정적이거나 약한 면은 숨기고, 긍정적인 부분을 과장되게 표현하는데 익숙해져 있다.


프로젝트 The Hidden eMotion은 현재 헬조선이라고 부르는 한국 사회에서 20-30대 젊은이들이 가진, 한국 사회적 구조 및 문화에서 오는 숨겨진 감정들을 인터뷰와 간접적인 3D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프로젝트는 같은 시기에 비슷한 경험을 한 한국의 젊은 세대 간의 공감과 이해 및 브랜드 '휴의'를 통한 내면의 치유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또한 한국에 방문하거나 관심이 있는 외국인들에게 솔직한 모습을 보여줄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K-pop, K-drama and K-food are positive aspects of Korean culture and are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worldwide. K-pop and K-drama in particular are becoming more popular among young people in Europe. But can we say that these idealized contents correctly reflect the reality of Korea?
In fact, many foreigners who moved to Korea because of their idealized image of Korea end up disappointed when they find the gap between their expectations and what they actually experience. Of course, every society has bright sides and dark sides. But it's human nature to exaggerate the positives while downplaying the negatives.

The Hidden eMotion project draws on a series of interviews and 3D animations to highlight the hidden emotions of young Korean people, which have their origins in Korean societal and cultural structures (the so-called Hell-Joseon). This project aims to create a therapeutic experience by the brand 'Huey' and discussing common experiences together, as well as to show the real Korea to foreigners.




현재 젊은 세대들이 겪고 있는 한국 사회의 고질적인 사회 문제에서 비롯된 
숨겨진 감정을 3D 디자인을 통해 표현하고 소통하며 알린다

To express, communicate and inform the hidden emotions arising 
from the chronic problems of Korean society 
which young generation is currently experiencing through 3D design




Speak out more
치열하고 끝없는 경쟁과 경제적 불평등으로 인한 과도한 스트레스는 많은 사람을 종종 이유 모를 우울증에 빠지게 했다.
한국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정신건강 조사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우울증을 앓고 있는 60만 명 이상의 사람 중 15%만이 전문적인 치료를 받고 있다. 이는 미국(39.2%), 뉴질랜드(38.9%), 호주(39.2%) 등에서 치료받는 환자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소수의 사람만이 전문적인 치료를 원할까?
문제는 한국 사회의 전통적인 분위기에 있다. `우리는 잘한 것은 보여주되, 잘못한 것이나 부끄러운 것은 숨겨라`라는 법칙을 가정 내에서 배워왔다. 젊은 세대가 `헬조선`에 대해 외치기 전, 한국 사회에서 경험한 강한 압박이나 불쾌한 감정에 관해 이야기하는 것은 사회에 순응하지 못한 유치한 징징거림이나 나약함으로 치부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정신과 방문은 여전히 한국 국민 사이에서 긍정적인 이미지보다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해,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문제가 되는 것으로 비치지 않도록 전문적인 상담을 피한다. 우리가 사회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우울증에 대해 공개적으로 이야기하기 시작한 것은 오래되지 않았다. 개인 미디어의 부상은 더 많은 젊은이들이 이러한 어려움과 문제에 대해 다양한 방식을 통해 공개적으로 이야기하는 데 도움을 주었지만, 여전히 충분하지 않다. 고학력 위주 사회, 과도한 경쟁,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여전히 사회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먼저 우리의 솔직한 감정을 표현하고, 더 많은 소통을 하며, 한국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들을 노출해야 한다.

Excessive stress due to fierce and endless competition and economic inequality has caused many people to fall into a depression they are often unaware of. 
According to a mental health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nly 15% of the more than 600,000 people suffering from depression in Korea currently receive professional treatment. This is less than half of the number of patients receiving treatment in the United States (39.2%), New Zealand (38.9%) and Australia (39.2%). 
So why do so few people seek professional treatment?
The problem lies in the traditional atmosphere of Korean society. “Show what you have done well, but hide what you have done poorly or what you are ashamed of” is a common saying within the family. Before the MZ generation began to speak seriously about “Hell Joseon”, talking about the intense pressure or unpleasant emotions they experienced in Korean society was often dismissed as childish whining or weakness because they could not conform to society. In particular, mental health care still has a negative rather than positive image among the public, so people avoid professional counseling so as not be seen as being problematic. It wasn’t long ago that we were talking openly about the stress and depression that society puts on everyone. The rise of personal media has helped more young people talk openly about these difficulties and problems in a variety of ways, but it is still not enough. This is because a highly educated radical society, excessive competition, and social and economic inequality are still deeply rooted in society. Therefore, we must first express our honest feelings, talk more, and expose the problems of Korean society.


Show both faces
대부분 사람은 그들이 가장 자신 있고 자랑스러운 것만 보여주고 싶어 한다. 이것은 인간의 자연스러운 심리다. 하지만, 그 부분이 지나치면, 우리가 보여주는 것은 더 이상 진실만은 아니게 된다.
어두운 면을 드러내기 어려운 사회의 부작용일까? 
한국 사회에서 겉으로 보이는 것들은 점점 화려해지고 과장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외모뿐만 아니라 경제력, 교육, 대인관계 등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나며, 이는 극단적인 비교문화로 이어졌다. 한국 사회를 잘 모르는 외국인들에게는 이러한 과장된 문화가 매우 아름답고 매력적으로 보이기도 하는데, 그들이 냉혹한 현실을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나 `기생충` 같은 영화를 보더라도 직접 경험하지 않으면 알기 힘든 한국 사회의 부분은 여전히 존재한다.
최근 K-드라마나 K-pop에 빠져 한국에 정착한 외국인들이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뒤 마주한 현실에 실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것은 현실에 비해 자신의 기대가 너무 높거나 현실과 다른 드라마에서 환상을 가지고 왔을 때 발생한다.
한국은 물론 서비스 속도, 편리함 및 안전함과 같은 면에서 많은 서유럽 국가보다 장점을 가지고 있다. 사실 한국은 재력이 있다면 살기 매우 좋은 나라 중 하나다. 하지만 이 프로젝트에서 우리는 적어도 한국에 대해 정확한 현실을 알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 한국의 아름다운 부분뿐만 아니라 실제 평균 한국인의 현실에 대해서도 솔직하게 알려줄 필요가 있다.


Most people only want to show what they are most confident and proud of. This is a natural psychology of human beings. However, when it becomes too much, what we show is no longer just the truth.
Is this a side effect of a society where it is difficult to show your dark side? In Korean society, what is shown is becoming more colorful and exaggerated. This trend is evident not only in physical appearance, but also in economic power, edu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hich has also led to an extreme culture of comparison. For outsiders who do not know Korean society well, this culture of hyperbole seems very beautiful and attractive.
This is because even if you watch documentaries or films like Parasite, which are based on harsh reality, it is still difficult to get to know Korean society properly unless you experience it yourself.
Such is the case when those who have recently settled in Korea after falling in love with K-drama or K-pop are disappointed with the reality after some time. This happens when expectations are too high compared to reality, or when people dreamed something from a drama. Certainly, South Korea is superior to many Western European countries in terms of working speed, comfort and fast internet. In fact, Korea is a great country to live in if you have money. But here we need to at least tell people who want to know more about Korea that it is not just about the beautiful outlook, but also about how the real average Korean feels when living in Korean society.
​​​​​​​
Colour



색은 주어진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위치를 나타낸다
Colours express the status of people living in a given society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색상 구성은 색상마다 특정한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전체 내용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요 색상은 블랙 톤, 로열 골드, 바이올렛 블루 톤으로 동일한 색상을 사용함으로써 같은 이미지를 생성하고 각각의 작은 테마들을 하나의 시리즈로 연결한다. 또한, 블랙 톤과는 대조적인 로열 골드 컬러는 보는 사람의 시선을 사로잡는 효과를 보여준다.
The overall colour scheme of the project is design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ntire content by assigning a specific meaning to each colour. The main colours are a black tone, a royal gold and a violet blue tone, which create the same image and connect each small subject into a unified series. In addition, the royal gold colour, which contrasts with the black tone, has a catching effect.
검은색은 대다수 사회의 규범과 다른 것을 받아들이는 것을 두려워하는 한국 사회의 보수적인 부분을 대표한다. 검은색은 다른 색을 덧칠해도 쉽게 변하지 않은 성질과 같이 특정한 고정관념과 규범이 쉽게 바뀌지 않는 한국 사회를 표현한다.
프로젝트의 주요 색상인 검은색은 애니메이션 배경뿐만 아니라 특정 물체에서도 사용됐다.

Black represents a conservative part of Korean society that is afraid to accept anything that deviates from the norms of the majority of societies. Black expresses Korean society where certain stereotypes and norms cannot be easily changed, like characteristics that do not change even when other colours are painted over. 
Black, the main colour of the project, was used not only for animation backgrounds but also for some objects.

한국에서의 성공의 기준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졸업한 대학의 이름, 근무하는 회사가 어디인지, 소유한 재산이 얼마인지가 사회에서 말하는 성공의 기준이다. 금은 오랫동안 부와 성공의 상징으로, 이 프로젝트에서 로열 골드는 한국 사회의 정해진 기준으로 성공한 사람들을 특정한다. 이는 또한 경쟁에서 이긴 승리자와 사회의 기준을 성공적으로 따르는 이들을 포함한다.
The criteria for success in Korea are simple. The name of the university you graduated from, where you work and the amount of property you own are the criteria for success in society. Gold has long been a symbol of wealth and success, and in this project Royal Gold identifies successful people as the norm in Korean society. These include the winners of competitions and those who successfully conform to the norms of society.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나는 바이올렛 블루 톤은 한국 사회의 전형적인 성공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행동 및 감정을 나타낸다. 이는 또한 사회의 기대를 거부함으로써 오는 죄책감이나 슬픔 또한 포함한다.
The violet blue tone that appears in the animation stands for behaviours and emotions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 typical criteria for success in Korean society. These include feelings of guilt or sadness that arise from rejecting society's expectations.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