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프로젝트 온라인 익명 설문조사는 총 1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객관식 및 주관식 응답을 간략하게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hi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onymously with a total of 100 people. The following results are a short analysis of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responses.
복수 응답을 허용한 주관적 응답을 분석한 결과 93명 중 51명이 한국 사회에서 타인에 대한 눈치 문화, 시선, 평가 등에서 불편함을 경험했다고 답했으며, 42의 응답자는 치열한 경쟁 사회로 인한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느낀다고 말했다. 또한 40명의 응답자는 한국의 정답 사회에 관련한 스트레스를 주로 언급했으며, 38명의 응답자가 한국 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좌절감과 무력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19명의 응답자는 사회로부터 오는 번아웃과 분노를 표현했다.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ubjective responses, which also allowed multiple answers, 51 out of 93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y experienced discomfort from the Nunchi culture, gazes, and evaluations of other people in Korean society. Additionally, 42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y felt interpersonal stress due to the highly competitive society. There were also 40 respondents who experienced stress from the standards set by society, while 38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y had overall frustrations and a sense of helplessness toward Korean society. Finally, 19 respondents expressed burnout and anger toward society.
복수 응답을 허용한 주관적 응답을 분석한 결과 응답자 93명 중 47명(대다수)이 불편의 주요 원인으로 눈치 문화와 평가문화를 언급했다. 다음으로 44명의 응답자가 한국의 성공 지향적인 사회가 원인이라고 응답하였고, 31명은 전통적인 유교문화를 원인으로 꼽았다. 또한 28명의 응답자는 이러한 불편한 감정의 원인으로 한국의 특정한 사회 기준을 언급하였으며, 22명의 응답자는 그들에게 주어진 주변에서 오는 높은 기대가 이러한 말할 수 없는 감정들의 이유라고 답했다.
The analysis of subjective responses, which allowed multiple responses, revealed that 47 out of 93 respondents (the majority) mentioned Nunchi culture and evaluation culture as the main cause of discomfort. Following that, 44 respondents indicated that Korea's success-oriented society was the reason, while 31 respondents pointed to traditional Confucian culture as the cause. Furthermore, 28 respondents cited the Korean standard of living as a cause for these emotions, while 22 respondents said the high expectations placed on them were the reason for these emotions.
서술형 주관식 응답을 공통 주제로 분류해 분석한 결과, 78명의 응답자 중 가장 많은 38명의 응답자가 타인에게서 오는 기대, 압박 및 통제에 대한 개인적 경험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잇따라 28명의 응답자는 한국의 전형적인 사회 기준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경험에 대해 말했으며, 25명의 응답자는 한국 성공 지향주의 사회 대한 경험이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15명의 응답자는 눈치 문화와 유교적 사고방식에 대한 경험을 이야기하였고, 10명의 응답자는 외모지향주의 및 비교문화에 대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Segmenting and summarizing the common themes of descriptive responses reveals that 38 respondents, the largest number among the 78 respondents, had personal experiences around expectations, pressures, and control associated with someone else. Meanwhile, 28 respondents talked about their experiences closely related to Korean society standard, while 25 respondents indicated they had experiences with the Korean success-oriented society. Additionally, 15 respondents said they had experiences with the Nunchi culture and Confucian mindset, and 10 respondents claimed they had experiences with the appearance-oriented and comparative culture.
Back to Top